성인실습 근골격계 케이스 낙상위험성, 급성통증, 감염위험성 (간호진단 4개, 간호과정 3개)

목차

1. 간호진단
2. 우선순위

본문내용

간호진단: 복합적 요인(고령, 약물, 수술, 보행보조기구)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간호사정
객관적 자료
– 침상 난간 한쪽이 수시로 내려가 있는 모습이 관찰됨.
– 보행 시 수술로 인한 허리 통증 및 약물 투여로 인하여 어지러움을 호소하는 모습이 관찰됨.
– 낙상 위험 사정 결과 낙상 고위험군에 속함.
– 고령: 76세
– 낙상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을 투여 중임.
– 보행 보조기구를 사용 중임.

주관적 자료
– “머리가 계속 어지럽고 속이 울렁거려서 힘들어.”
– “아직 혼자 걷기엔 불편해.”

간호목표
단기 목표
① 대상자는 5일 이내에 낙상 예방법에 대해 3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② 대상자는 낙상 교육을 받은 후 낙상으로 인한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 안전 수칙을 준수하고 협조할 것이다.

장기 목표
① 대상자는 2주 이내에 낙상사고를 경험하지 않는다.

간호계획
1) 진단적 계획
① 낙상 위험 사정 도구를 통해 낙상 위험도를 주기적으로 사정한다.
② 대상자의 침상, 수액 걸이, 휠체어 등에 낙상 위험 인식표를 부착하고, 병원 지침에 따라 환자 인식 팔찌 등에 낙상 고위험군임을 표시한다.

2) 치료적 계획
① 대상자의 주위환경을 주기적으로 사정하고 낙상 위험요인을 제거한다.
② 발에 꼭 맞는 신발을 신도록 하고 바닥이 미끄러운 신발이나 슬리퍼를 신지 않도록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