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질환별 사전학습(정의, 원인, 증상, 치료, 간호)

목차

1. 아동 사전학습

본문내용

고위험 신생아 질환 학습
RDS(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정의
–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은 출생 직후 폐가 지속적으로 팽창하지 못하고 찌그러들어 출생 후 진행성 호흡부전이 생기는 질환으로, 미숙아는 폐가 작고, 폐를 팽창하게 하는 물질인 폐 표면활성제의 생산과 분비가 부족하기 때문에 위험성이 크다.

원인
– 폐발달이 미숙한 미숙아와 당뇨병 산모의 신생아, 흉부 기형에 의한 폐표면활성제 부족등이 있다.

증상
-청색증, 가슴함몰 빈호흡, 무호흡, 그렁거림, 코벌렁임등이 있으며, 호흡곤란 징후는 silver man anderson score로 평가할 수 있다

치료
– 호흡곤란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은 조산을 적극적으로 예방하는 것과 태아의 폐 발달을 강화하기 위한 스테로이드 요법이다. 출생전에 산모에게 스테로이드를 투여하면 호흡곤란 증후군의 발생률과 중증도가 낮아지고 임신 24~34주 신생아와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생존율이 높아진다.호흡관리를 위하여 비강캐뉼라로 산소를 투여하고 saO2가 90보다 낮다면 CPAP을 적용할 수 있다.

간호
– 체온조절, 침습적인 시술로 인한 감염예방 등이 요구된다 기계적 환기요법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의료기관의 지침에 따르고 산소포화도를 포함한 활력징후를 면밀히 관찰한다

PDA
정의
– 선천성 심장기형의 일종으로, 동맥관 개존은 출생 전 태아에서 반드시 열려 있어야 하는 대동맥과 폐동맥 사이를 연결하는 부위(동맥관)가 출생 후에도 닫히지 않고 열려 있는 상태를 말한다. PDA는 선천성 심기형의 5~10%로 비교적 흔한 기형이다.

원인 – 특별히 밝혀진 것은 없으나 가족력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증상
– 동맥관의 크기가 작은 경우 이곳을 흐르는 혈액이 적기 때문에 환아에게는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우연히 신체검사에서 발견되게 된다. 하지만 동맥관이 큰 경우에는 많은 양의 혈액이 폐동맥으로 전해져 폐동맥압이 높아지게 되어 폐에 있는 혈관에 질환을 일으키게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