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반 정보
2. 병력
3. 질병 기술(문헌고찰) 및 환자 사정
4. 신체검진
5. 진단검사
6. 치료
7. 간호사정
8. 임상검사 및 해석
9. 영상의학 검사 및 조직검사
10. 약물
11. 간호과정
12.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간호진단: 복합적 요인(전신마취 수술, 부동, 약물, 우울감)과 관련된 변비
주관적 자료
“배변 활동이 입원 전부터 어려웠어요” (2/27)
“수술도 받고 밥도 잘 못 먹으면서 더 악화된 거 같아요. 배변할 때 힘들어요.”(2/27)
“불편감이 1-10 중에 7정도예요.”(2/27)
객관적 자료
병원에 입원하고 대변을 누지 못함. (2/20~2/26)
전신마취 수술 후 ABR 상태 유지 중임. (2/23~2/28)
과거력으로 우울증을 가지고 있음
목표
단기목표: 대상자는 24시간 이내에 변비에 도움이 되는 방법을 말할 수 있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복부가 편안하다고 표현한다.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정상 변을 본다.
평가기준
– 대상자는 3/1까지 변을 본다.
– 3/6까지 대상자는 변비로 인한 복부 불편감이 7에서 3으로 줄어든다.
– 3/6까지 대상자는 자신이 실천한 변비를 완화하는 방법을 2가지 이상 말한다.
– 2/28일까지 대상자는 장배설 하는데 필요한 적절한 음식을 말할 수 있다.
계획
1. 대상자의 변비유발 요소를 사정한다.
중재
1) 대상자는 2/23일에 Biliary bypass(HJ anastomosis) 수술할 때 전신마취를 받았다. (2/23) 대상자는 담관 우회술을 받은 후 수술 부위 통증이 심하여 침상에서 ABR를 유지하고 있다. (2/23~3/1)
2) 대상자는 마약성 진통제인 pethidine hydrochloride와 fentanyl citrate를 PCA를 통해 정맥내 주사로 투여받고 있다. (2/23~3/3)
-PCA를 1시간에 4번 정도 누르는 모습이 관찰됐다. (2/27) -> 마약성 진통제 자주 사용
3) 대상자는 심리적인 우울감을 호소하였다. (2/27) (“수술 부위가 아프고 외로워서 우울감이 더 심해졌어”)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