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봉굿의 종류와 허두잽이(잡색)에 대해 서술하여 제출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필봉굿의 종류
1) 마당밟기
2) 매굿
3) 당산굿
4) 찰밥걷이굿
5) 노디고사굿
6) 겉궁굿
7) 두레굿
8) 판굿
2. 허두잽이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서론
우리나라는 농경사회가 주를 이루었기 때문에 풍년을 위해 우리 조상들은 여러 가지 제를 하늘에 올렸다. 이런 문화 속에서는 노동의 고통을 마을 사람들과 함께 나누기 위해서 흥을 돋우기 위한 음악이 있었다. 이때 사용되던 음악이 발전하면서 지금의 농악이 되었다. 호남좌도농악의 임실필봉농악은 놀이적인 농악과 연희적인 농악의 성격이 골고루 잘 드러나 있다. 임실필봉농악에서 마을굿패를 이끄는 무리를 허두잽이라고 하고 다른 말로는 잡색이라고도 한다. 잡색은 농악판을 휘어잡는 놀이꾼으로 뒷굿을 주로 주도한다. 본론을 통해서 필봉굿에 대해서 상세하게 알아보고 잡색의 역할에 대해서 서술해 보겠다.

Ⅱ.본론
1.필봉굿의 종류
1)마당밟기
마당밟기는 신년을 맞이하여 풍물패가 마을의 집을 방문해 가정의 평안을 기원하고 액을 몰아내주는 굿의 한 종류다. 마당밟기는 기굿, 당산굿, 샘굿, 문굿, 술굿, 조왕굿, 철륭굿, 곳간굿 등으로 나뉜다.
기굿은 마을을 대표하는 기를 중심으로 굿패다 둘러서서 상쇠가 휘모리 가락으로 맺어주고 동네의 어른이나 잡색 중에서 깃대의 밑쪽에 술을 세 번 부어주면 상쇠가 어름굿을 치면서 모든 사람들과 치배들이 세 번 절을 올린다.
기굿이 끝나면 당산굿이 시작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