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2. 관련 이론
3. 실험 기구
4. 실험 방법
5. 결론 및 고찰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옴의 법칙을 공부하고 응용한다. 특히
○ 저항 양단의 전위차의 변화에 따른 전류의 변화
○ 전압이 일정할 때 저항의 변화에 따른 전류의 변화
○ 전류가 일정할 때 저항의 변화에 따른 전압의 변화
등을 관찰한다.
2) 관련 이론
도체에 전압이 가해지면 이 도체에 흐르는 전류는 가해진 전압에 비례한다.
3) 실험기구
◉ 옴의 법칙 실험장치
◉ 전압계(0-30V), 전류계(0-5A), 저항계
◉ 가변직류전원장치, 연결도선
4) 실험 방법
4.1 저항이 일정할 때 전압에 따른 전류의 변화
그림26.2와 같이회로를 연결하기 위해 그림 26.1(좌)와 같은 기판을 다음과 같은 순서로 상용한다.
1. 우선 P와 Q를 개방한 상태 – 아무것도 연결하지 않으면 개방된 상태가 됨 -로 스위치 1과 2를 모두 “ON” 시킨다. 이때 가변직류전원장치의 전압조절단추를 돌리면 회로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이 변한다.
2. 기판에 붙어 있는 저항 R은 가변저항이며 임의로 돌릴 경우 저항값이 변한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와 같이 저항값을 고정시키는 조건이라면 실험 도중에 가변저항을 돌려서는 안된다.
3. 전류계와 전압계는 기판에 표시된 부분에 양극과 음극이 바뀌지 않도록 잘 연결해준다. 만약 바뀌었다면 바늘이 반대방향으로 움직일 것이나 이는 계측기 고장의 원인이 되므로 주의한다.
4. 가변직류전원장치의 전압조절단추를 이용하여 고정저항 양단의 전압 V의 변화에 따른 전류 I의 변화를 전압계와 전류계로 관찰하고 그 결과를 모눈종이에 그린다. 옴의 법칙에 따르면 이 그래프의 기울기의 역수가 저항 R의 저항값이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