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의 목적의 쟁점 _ 화이트헤드의 사상을 중심으로

목차

Ⅰ. 들어가며
Ⅱ. 화이트헤드의 “리듬”
Ⅲ. 화이트헤드의 “교육의 목적”
Ⅳ. 나가며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신득렬(2003)은 ‘목적’, ‘목표’의 의미를 영어 표기에서 찾았다. 그 단어로 ‘aim’, ‘purpose’, ‘goal’, ‘objective’, ‘end’, ‘motive’, ‘intention’ 등이 사용된다. 이 중에서도 ‘aim’가 가장 많이 쓰이는데, 이것이 교육의 내재적 목적을 가장 잘 나타내기 때문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피터스(Peters, R.S.)는 ‘aim’이라는 단어의 특징들이 특수한 사회 기능을 알려준다고 말했으며, 그것은 ①가까이 있지 않거나 획득하기 어려운 목표를 암시하는 것과 ②문제의 행동이나 활동이 그러한 목표에 관련되어 명백히 구성되어 있지 않음을 암시하는 것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또한 듀이(J. Dewey)는 「민주주의와 교육」에서 교육목적을 논의하는 파트의 제목을 ‘Aims in Education’으로 표기하였는데, Aims of와 달리 Aims in으로 표기함으로써 교육의 내재적 목적이 중요하다는 것 또는 교육은 내재적 목적만을 갖는 다는 것을 강하게 시사했다(신득렬, 2003에서 재인용).
그렇다면 다시 ‘교육의 목적’이라는 어구를 풀이해보고자 한다면, “학습자가 교육을 받는, 혹은 교육을 이수하는 목적”과 “교육이 지향해야하는 목적”으로 구분해 볼 수 있겠다. 이를 신득렬(2003)은 ‘교육의 목적이 무엇인가’와 ‘교육의 목적이 무엇이어야 하는가’라고 기술하기도 했으며, 다시 교육의 목적을 내재적 목적과 외재적 목적으로 구분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