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끓는바다 환경정책보고서

목차

1. 바다의 온도가 올라가는 이유
1) 온실기체의 증가
2) 산림의 축소
3) 메탄의 증가

2. 바다의 온도가 올라가면서 발생하는 문제점
1) 해수면 상승
2) 해빙
3) 산불
4) 가뭄
5) 대홍수
6) 폭우와 초강력 폭풍

3. 기후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국가의 환경정책과 법
1) 온실가스 배출권 제도
2) 탄소 포인트제

4. 기후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내가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행동(세 가지 이상)
1) 환경 친화적 상품 소비하기
2) 폐기물 재활용 실천하기
3) 자연 보호하기
4) 지속가능 식품 선택하기
5) 에너지 절약하기
6) 탄소배출 줄이기
7) 자원 순환
8) 환경 문제 인식 증진하기

5. 참고문헌

본문내용

○ 바다의 온도가 올라가는 이유
미국의 해양대기청에 따르면 2022년 4월 전 세계의 해수면 온도 평균은 21.1도로 역대 최고 수치를 기록했다. 여러 원인들로 인해 지구 시스템 전반에 열이 쌓이게 되면 이 중 90%를 해양에서 흡수하게 된다. 보통 1년에 20ZJ의 열에너지가 해양으로 흡수되는데 이는 원자폭탄이 1초에 4개, 1시간에 14,400개가 터져 에너지가 공급되는 상태로 표현할 수 있다. 이렇게 열이 쌓이게 되는 원인은 다음과 같다.

1) 온실기체의 증가
산업이 발달하며 석탄이나 석유 등의 화석연료를 주로 사용하게 되고, 농업이 발전하며 여러 숲이 파괴됨으로써 온실기체가 증가하게 되었다. 1800년대의 대기 중 이산화탄소 양은 280ppm이었으나, 1985년은 315ppm, 2000년대는 367ppm으로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이다. 온난화의 주범이 되는 온실기체로는 이산화탄소 뿐 아니라 메테인과 수증기 등이 있다. 이렇게 증가된 온실기체로 인해 지구 시스템 내에 발생하는 열들이 가둬지고 이는 대기가 더 많은 수증기를 품도록 만들어 악순환을 야기한다.

2) 산림의 축소
산림은 광합성을 통해 공기 중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반대로 산소를 배출하면서 생태계의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균형을 유지해주는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농업의 발달과 과다한 개발 등으로 산림을 파괴하며 생태계 균형을 깨트리는 결과를 초래했다. 여러 산림들이 황폐해져 가며 증가하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지 못하고 대기 중에 온실기체가 더욱 증가하게 만들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