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대상자 선정 이유
2. 통계자료
Ⅱ. 본론
1. 문헌고찰
2. 대상자 자료
3. 간호과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대상자 선정 이유
병원 신생아실에서 2주간 실습하며 많은 신생아를 볼 수 있었다. 신생아에게 비교적 흔한 질환인 기저귀 발진이 생긴 신생아를 보았으나 정도가 심하지 않고 정상에 가까워 대상자로 선정해도 될지 고민이 앞섰다. 쉬즈메디 신생아실에는 정상신생아가 대부분이었기에 대상자를 선정하는 데에 많은 고민을 하다 문득 ‘내가 과연 신생아를 완벽히 알고 간호할 수 있는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아직 정상인 신생아조차 완벽히 알지 못한다고 생각했기에 오히려 신생아를 더 알아갈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했다. 교수님께서 말해주셨듯이 신생아는 연약하기에 모든 질병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고, 가능성이 다양하다. 그에 따라 기저귀 발진이 있으며 정상에 가까운 신생아를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신생아 중에서도 가장 많이 관찰할 수 있었던 신생아를 대상자로 선정하고자 하였다.
본 사례연구보고서의 대상자는 제왕절개를 통해 출생하였으며 재태기간은 38주 5일로 만삭 아이다. 출생 직후 3.16kg으로 정상 체중이었으며 출생 후 신생아실에서 재원하는 동안 기저귀 발진이 생겼으나 발진 정도가 심하지 않아 전체적으로 정상에 가까운 신생아이다. 나는 대상자의 출생 후 신체사정을 관찰하였고, 기저귀를 갈아주고 밥을 먹여주며 대상자를 가까이서 관찰할 수 있었기에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2. 통계자료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출생 신생아 수는 249,186명이었으며 남아 127,454명, 여아 121,732명으로 출생성비는 104.7이다. 전년대비 출생 신생아 수는 11,376이 감소하고 출생률은 4.4% 감소한 것으로 보아 출생률이 급격히 감소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최은진 한국보건 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의 ‘미숙아 건강통계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는 우리나라 전체 출생아는 2011년 47만1천명에서 2021년 26만1천명으로 45%가량 줄었다고 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