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광섬유란?
광섬유의 원리
광섬유의 종류
계단 형, 언덕 형 광섬유
감쇄
본문내용
광섬유란?
– 빛 신호를 전달하는 가느다란 유리 또는 플라스틱 섬유의 일종.
광섬유의 원리
– 광섬유 내부와 외부를 서로 다른 밀도와 굴절률을 가지는 유리섬유로 제작하여, 한번 들어간 빛이 전반사를 하며 진행하도록 만든 것.
광섬유의 종류
1. 매질에 따른 분류
– 석영계 유리나 실리카 유리로 제작된 유리섬유(GOF: Glass Optical Fiber)
– 코어 부분의 물질은 유리, 클래딩 부분의 물질을 플라스틱을 사용한 PCF 섬유(Plastic Clad Silica Fiber)
– 코어와 클래딩 재료로 플라스틱을 사용한 플라스틱 광섬유(POF : Plastic Optical Fiber)
2. 코어 지름에 따른 분류
– 단일모드 광섬유(지름 수 m) : 광선을 단일 전송하기 위해 설계된 광섬유로서 장거리 신호 전송에 사용
– 다중모드 광섬유(지름 수십 m) : 하나의 코어 내에 약간씩 다른 반사각을 가진 다수의 광선을 동시에 운반 할 수 있도록 설계된 광섬유. 멀티모드 전송은 비교적 짧은 거리에서 사용되는데, 그 이유는 멀티모드를 장거리에서 사용하면 빛이 분산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
3. 코어의 굴절률 분포에 따른 분류
– 계단 형 광섬유 : 코어부분의 굴절률 분포가 균일
– 경사 형 광섬유 : 코어부분의 굴절률이 중심에서부터 바깥쪽으로 가면서 점차 낮아지는 Gaussian 분포
※ 재료에 따른 분류
– 광섬유를 재료로 분류하면 석영, 다성분 유리, plastic, plastic clad fiber, plastic fiber로 나누어진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