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신간호사정
1) 정신간호력 조사
2) 정신상태 검진
3) 신체 및 심리상태(약물치료 포함)
2. 간호과정
1) 간호과정1
2) 간호과정2
3.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성장발달(Personal/Developmental)
➀ 영아기 및 초기아동기 :
➁ 학령전기 :
➂ 학령기 :
➃ 청소년기 : 대상자의 청소년 이전 시절 정보를 얻을 주변인물이 없어 정확하지 않으나 대상자에게 질문 시 현재 학창시절의 친구와 연락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사회성이 불충분한 것으로 보임, 친구들과 놀기보다는 혼자 장난감을 가지고 놀았다 고함
➄ 성년기 : 대학시절 동기들과 함께 생활하였으나 의사소통 시 본인만의 직설적이고 무례한 말을 많이 사용하여 가까운 지인이 많이 없음
➅ 중년기 : 본인의 병식이 있어 주변 지인들과 의사소통하려 노력하는 모습을 보임
➆ 노년기(65세 이후) :
(2) 정신 사회학적 사정(Psychosocial Criteria)
➀ 병전성격(Childhood/premorbid history) : 주변 인물들과 소통하며 지냈으나 현재 질병의 증상 발현으로 정확한 과거 성격 알 수 없음
➁ Stressors(내적, 외적) : 특정 패턴을 보았을 때 반응
➂ 스트레스에 대한 적응력(Coping skills) : 환각이라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대화함
➃ 대인관계(Relationships) : 의사소통 방식으로 인해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겪었으나 병에 대한 인식 이후 주변인들과 대화하여 이를 개선하고자 함
➄ 신뢰관계(Reliability) : 아내, 대학 동기
➅ 문화적(Cultural) : 사회적 낙인으로 인한 주변 시선에 적응하지 못함
➆ 영적(Spiritual(value-belief)) : –
➇ 직업적(Occupational) : 질병에 대해 인식 후에도 본인의 연구에 집중하는 모습
➈ 지지체계(Support systems) : 아내, 대학 동기
➉ 특별한 욕구(Special needs) : 약 복용 중단까지 하면서 본인의 연구에 몰두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