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가설의 의의
2. 가설의 특징
1/ 상호연관성
2/ 검증 가능성
3/ 명확성
4/ 추계성
5/ 구체성
6/ 가치중립성
3. 가설의 종류
1) 연구가설
2) 영가설
4. 가설의 기능
1) 이론의 검증
2) 이론의 제시
3) 사회현상의 기술
본문내용
1. 가설의 의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실세계에서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검증을 거쳐야 한다. 연구자는 연구문제에 대하여 해답이라고 생각되는 것을 제시하여 경험적으로 그 진위를 확인하는 절차를 거친다.
이때 연구자가 잠정적으로 해답이라고 간주한 것이 바로 가설이다.
달리 말하면, 어떤 사실의 원인을 설명하거나 어떤 이론체계를 연역하기 위해서 가정적으로 설정한 것을 가설(hypothesis)이라 한다.
즉, 가설이란 사실로서 증명은 안 됐지만 추구해 볼 만한 가치가 있는 조건을 갖춘 추측이다. 일반적으로 가설은 연구를 통해 검정하고자 하는 둘 또는 그 이상의 변수들 간의 관계에 관한 가정적인 명제로 이루어진다.
2. 가설의 특징
가설은 일반적으로 두 개 이상의 변수들 간의 관계를 검증 가능한 형태로 서술해놓은 하나의 문장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가설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상호연관성
두 개 이상의 변수 간의 관계에서 가설을 나타내야 한다. 연구문제는 주로 어떤 현상이나 사건을 중심으로 구성되는 반면에, 가설은 이러한 현상이나 사건을 설명하는 개념을 양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변수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예를 들면,
<연구문제> 학벌이 높은 사람들은 만족스러운 생활을 할 것이다.
<가 설> 만일 학력이 높다면, 생활만족도가 높을 것이다.
2/ 검증 가능성
변수들 간의 관계를 가설은 실증적으로 검증할 수 있어야 한다. 가설의 적용에 있어서 실제로 관찰하여 얻은 자료를 이용하여 경험적으로 검증할 수 있어야 한다. 검증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설에 포함된 변수들을 조작적으로 정의되어야 하며, 이들 변수들은 직접 관찰되거나 측정될 수 있어야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