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발달이론 중 하나의 이론을 선택하여 주창자, 성격을 보는 관점, 주요내용, 기여점과 제한점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비고츠키 사회문화적 발달이론의 주요견해
2. 비고츠키 사회문화적 발달이론의 주요개념
1) 근접발달영역
2) 발판화 또는 비계설정
3. 비고츠키 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비고츠키는 자신의 고유한 문제의식과 개념을 통해 인간 지식과 그 발달을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인식주체의 적극적, 능동적 활동이 지식의 원동력이라고 주장하였다. 즉 비고츠키는 인지발달이 사회문화적 환경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보았으며 언어 사용은 개인의 인지발달의 척도가 되기 때문에 언어 사용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에 대해 관심을 가졌던 것이다. 비고츠키는 러시아의 심리학자로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한 후 철학과 심리학, 문학 등의 다양한 학문분야를 섭렵하였고 이후 모스크바 실험심리연구소에서 활동하였다. 그는 기존의 행동주의와 형태주의 등의 학습이론을 단편적이라고 인식하여 인지발달에서 문화의 부호와 상징의 역할, 사고와 언어의 관계, 고등정신능력의 발달과정 등에 관심을 기울였다. 비고츠키는 개인의 고등정신능력의 발달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개인이 처한 사회문화와 역사를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의식의 사회적 차원은 시간적으로 일차적이고 의식의 개인적 차원은 이차적이며 파생적인 것이라고 보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