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호사정
1) 일반적 정보
2) 건강력
3) 성장 및 성격 발달력
4) 가족력 (가계도)
5) 현재상태
6) 임상병리검사
7) 임상심리검사
8) 정신질환에 대한 치료
9) 의학적 진단명
10) 의사의 치료계획
2. 정신간호과정
1) 억압된 불안과 관련된 만성통증
2)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3) 인지능력 저하와 관련된 자긍심 저하
3. 총평가
본문내용
3. 총평가
대상자는 경증의 치매와 간헐성 폭발성장애, 양극성 정동장애 환자로 현재는 조증의 증상보다는 치매로 인한 신체화 증상과 간헐성 폭발성 장애로 인한 폭력성으로 입원치료중이다. 스스로는 화병이라 이야기하나 간호과정을 진행하며 세가지 문제에 대해 간호수행하며 사정된 결과로는 현재 치매증상으로 인한 인지저하에 대해 불안감과 남편에 대한 미안한 감정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식사 준비를 제대로 하지 못해서 남편이 식사를 차려주는 것에 대해 미안한 감정을 느끼며, 식사도 점차 거부하게 되었고 자기 전에는 남편이 먼저 사망하면 자신은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불안감으로 인해 전신의 통증이 나타났다.
입원 후 식사량은 증가하였고 폭발적인 분노표출 또한 볼 수 없었다. 주치의도 퇴원 후 일상으로 돌아가면 또다시 이러한 증상이 생겨날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충분한 가족 면담 후에 퇴원을 고려해 볼 것이라 하였다. 처음에는 양극성 장애의 조증 증상으로만 여겼었지만, 치매로 인한 불안감과 자존감 저하로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분노라는 감정으로 표현했던 것이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