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건설사업 단계
2) 사업 주체의 역할 및 관계
(1) 사업 주체의 역할
(2) 사업 주체의 관계
3) 건설사업 단계별 설계자의 주 업무 및 역할
(1) 기획단계
(2) 설계단계
(3) 시공단계
(4) 유지·관리단계
3. 결론 및 소감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건설사업단계는 구조, 기능, 미를 갖춘 건축물을 발주자(건축주)의 의도대로 설계 도서화하여 적절 품질과 최소의 비용으로 최단 시일 내에 안전하고 친환경적으로 건축하는 것을 말하며, 기획단계, 설계단계, (입찰 및 계약단계), 시공단계, 유지관리단계의 프로세스로 이루어져 있다.
기획단계는 사업의 첫 번째 단계로 발주자의 기본적인 구상과 가용예산 및 준공 시기 등을 토대로 프로젝트의 규모나 수준 등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설계단계는 계획, 중간, 실시 설계로 분리 또는 동시에 발주되어 수행되며, 본 단계에서 설계보고서와 구조 및 수리계산서, 토질조사보고서, 공사시방서, 설계도면 및 설계내역서 등이 준비된다.
입찰 및 계약단계는 시공자를 선정하는 단계로서 발주자의 건축물에 대한 사항들을 설계도서로 표현한 후 입찰 참가자들을 평가하고 낙찰자를 선정하여 계약을 체결하는 단계이다. 우리나라 공공공사에서의 입찰 및 계약 절차는 입찰공고, 현장설명, 입찰서 작성 및 제출, 개찰 및 낙찰, 계약 보증금 납부, 계약체결의 단계로 진행된다.
시공단계에서 건축물이 실제로 구현되며 착공, 시공계획 검토 및 승인, 공사진행, 공사관리, 준공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발주자는 시공계획서에 따라 공사를 수행하도록 시공자를 감독하며, 시공자는 공사수행 결과를 기록하여 제출하며 준공단계에서는 준공 보고서 등 제반 서류를 발주자에게 인수 인계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유지관리단계에서 발주자는 시공자로부터 인도받은 건축물을 유지관리 지침서를 제출 받아 이를 검토하여 보관하고 특히 대규모 건축물의 경우는 전문관리업체에게 업무를 위탁하기도 한다. 전체적인 생애비용(LCC)의 관점에서 보면 건축물의 건설에 드는 비용 이상으로 유지관리에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됨을 알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설계 및 시공을 하는 것이 좋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