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모든 생물들의 과제
(2) 성 상품화와 성차별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미의 기준이란 옛날부터 있어왔다. 어릴 적 박물관에 가서 뚱뚱한 여자 조각품을 보면서 우리는 옛날엔 뚱뚱한 여자가 다산과 풍요를 뜻해 미의 기준이 되었다고 듣는다.
그렇다면 미의 기준을 정하는 것은 특정 성을 상품화하는 것일까? 아니면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인류의 본능일까? 흔히들 아기는 예쁜 사람과 못생긴 사람을 구분해서 좋아한다고 한다. 주변에서 아이를 볼 환경이 많았던 필자 또한 이 주장에 어느 정도 동의한다. 영아기에도 못생기거나 험악하게 생긴 사람이 다가가서 안으면…
<중 략>
(2) 성 상품화와 성차별
성 상품화란, 인간의 성을 이용해 이윤을 취하는 것, 한마디로 성을 상품화해서 판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내 성(sex)을 내가 결정해서 판다는데 왜 문제가 되는 것일까? 그것은 인간이 사회화된 동물이기 때문이다. 인류가 발전하기 위해선, 다른 사람들과의 교류가 필수적이다. 교류를 위해 사회적 규칙인 ” 법 ” 이 생겼고, 법 만으로 채워지지 않는 부분을 위해 ” 도덕 “이라는 개념이 생긴 것이다. 발전을 위해 생긴 것을 부정한다는 것은 다시 도태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꼴밖에 되지 않는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