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
2. 병태 생리
3. 빈도 및 예후
4. 증상 및 징후
5. 진단검사
6. 치료
7. 간호
본문내용
급성 신우신염이란 신장의 세균감염으로 인하여 발생한 요로감염증이다. 대부분의 요로감염증은 방광에 국한되는 경우가 많으나 신장을 침범하여 급성 신우신염이 발생하면 고열, 오심, 구토 및 요통 등이 발생하고, 합병증으로 신장농양 및 패혈증이 생길 수 있으며 반복적인 신우신염은 신장손상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주로 어린이의 경우 남녀 차는 거의 없으나 사춘기와 장년기에는 여성이 압도적으로 많이 발병되고, 노년기에는 남성 환자도 증가하게 된다. 이는 여성의 경우 요도 길이가 짧은 해부학적인 차이와 임신의 영향이 크고 노인 남자는 전립선 비대증이 소변의 흐름을 저해할 때가 많기 때문이다.
-원인
● 방광으로 부터 세균에 의한 상행성 감염이 발생 (대장균의 감염에 의한 것이 많음)
● 요도의 세균오염이나 도뇨 혹은 방광경 검사
● 항생제 사용의 증가로 점차 원인균의 종류가 변하여 최근에는 대장균을 비롯한 변형균, 녹농균 같은
그람 음성간균이 상당한 많은 비중을 차지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