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심증 문헌고찰, 간호진단2가지 포함, 시나리오입니다.

목차

1. 문헌고찰
2. 팀학습 보고서
3. 간호진단
4. 시나리오

본문내용

구분
내용
원인
근육세포와 교질 섬유가 혈관내벽으로 이동하여 내벽이 두꺼워지고 딱딱해져 혈관을 좁히고 혈관 내벽의 지방, 콜레스테롤 및 인지질 대사의 변화로 인해 관상동맥의 혈류가 원활하지 않아 원인이 된다.
증상
● 가슴통증, 가슴의 불편감
● 어깨나 목 등으로 퍼져나가는 방사통
● 오심, 피로, 발한,
● 6p
① Pain 통증
② Paresthesia 감각이상
③ Poikilothermia 냉기
④ Paralysis 마비
⑤ Pallor 창백
⑥ Pulselessness 맥박소실
진단적 검사
및 결과
● 검사실 검사
저밀도 지단백(LDL)상승과 고밀도 지단백 감소
콜레스테롤수치 상승

● 방사선검사
동맥조영술- 조영제를 동맥으로 주사하기 때문에 혈전증, 색전증 등을 초래할 수 있다

● 혈관조영술
● 심전도검사
● CT
● X-ray
● 혈액검사
약물치료
혈관확장제, 항응고제, 혈청 내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약물 등이 처방될 수 있다.
혈관확장제로는 교감신경차단제를 사용하며 이들은 혈관에 있는 신경말단에서 유리되는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작용을 방해한다. 질산염제제로 혈관을 확장시키며 대표적으로 니트로글리세린이 있다.
항혈소판 제제로서 aspirin등이 있고 그 외 혈전용해제로서 urokinase등이 사용된다.
시술
● 경피적 혈관내 성형술
수술을 하지 않고 풍선이나 스탠드가 있는 도관으로 폐쇄된 혈관을 확장시키는 방법.
단 하나의 동맥만 이용되고 장기간의 안정이 필요없다.

● 동맥 우회술
동맥의 협착 및 폐쇄시 실시되며 자기 복재정맥을 거꾸로 하여 사용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