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내용의 실체에 관한 범주
(1) 주제내용
(2) 방향
(3) 기준
(4) 가치
(5) 방법
(6) 특성
(7) 행위자
(8) 권위
(9) 기원
(10) 표적
(11) 갈등
(12) 갈등의 종결
(13) 시간
2) 내용의 형식에 관한 범주
(1) 커뮤니케이션 형식
(2) 발언 형식
3) 참고문헌
본문내용
내용분석의 범주는 커뮤니케이션 내용의 특징을 분류하는 체계를 의미한다. 내용분석의 단위가 커뮤니케이션 내용을 분석하기 위한 기준항목이라면, 범주는 그러한 기준항목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틀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학작품의 주인공을 통해 시대별 성역할의 변화를 분석한다고 하면 주인공, 즉 인물은 단위이며, 주인공의 성역할은 카테고리에 해당한다. 내용분석의 범주 설정은 자료수집의 성패를 좌우한다. 즉, 범주가 명확히 규정되고, 문제를 파악하는 데 적합하게 만들어졌을 때 연구에서 추구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내용분석의 범주에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ㆍ 내용의 실체에 관한 범주(무엇을 말하는가?)
ㆍ 내용의 형식에 관한 범주(어떻게 말하는가?)
1) 내용의 실체에 관한 범주
(1) 주제내용
가장 많이 사용하는 범주로서 단어, 주제, 항목 등이 무엇에 대해서 말하는가를 분석하기 위한 범주이다. 의사소통이 무엇에 관한 것인가? 즉, 주체는 무엇인가? 예를 들면, 신문1면 톱기사가 어떤 내용을 다루고 있는가, 저녁 9시 TV뉴스의 첫 번째 기사가 어떤 내용을 다루고 있는지를 분석할 때, 어떤 내용인지가 이에 해당한다. 이 경우 범주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노동, 복지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