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질병보고서
1. 질병명 (사례연구대상) (한글/영문)
2. 원인
3. 증상
4. 약물치료와 약물의 부작용(약의 실제 모양 제시)
5. 간호중재방법
Ⅱ. 환자사정 및 간호과정 사례보고서(가정방문) : 정신건강복지센터용
1. 환자사정 : 정신건강복지센터 실습인 경우 작성양식
2. 간호과정: : 정신건강복지센터 실습인 경우 작성양식
본문내용
양극성 장애, bipolar disorder (동의어: 조울병, 조울증)
정의
● ‘양극성 장애’로도 불리는 조울증은 기분이 들떠 자신감이 넘치는 조증상태와 마음이 가라앉는 우울증 상태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이다.
특징
● 일반적으로 양극성장애는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와의 면담에 통해 진단할 수 있다.
● 우울삽화와 함께 경조증삽화를 한 번이라도 경험한 경우 진단할 수 있으며, 그 기준은 정신장애 진단 및 통계편람에 따른다.
● 정신건강의학과에서는 비정상적인 기분이 지속되는 양상을 ‘삽화’라고 하는데조울병은 1번 이상의 경조증삽화 또는 조증삽화를 경험하는 경우 양극성장애로 진단하며, 조증삽화를 경험한 경우 1형 양극성장애, 경조증삽화를 경험한 경우 2형 양극성장애로 구분한다.
양극성 장애의 종류
제 1형 양극성 장애
● 1주 이상 지속되는 한 번 이상의 조증이나 혼합형 삽화가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보통 주요 우울증 삽화가 동반된다.
● 조증과 우울증이 교대로 나타나거나 조증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 1형 양극성장애는 남녀의 유병률이 같으며 평균 발병연령은 30세 혹은 그 이전으로, 주요우울장애의 평균 발병연령인 40세보다 조기에 발병한다.
● 자살률이 일반인에 비해 30배 이상 높다. (초기에 가장 높음)
제 2형 양극성 장애
● 조증 정도가 심하지 않으며, 한 번 이상의 주요 우울증 삽화가 나타나며 적어도 한 번의 경조증 삽화가 동반, 우울증이 주를 이루는 양극성 장애이다.
● 우울증이 먼저 발병 후 재발 과정에서 우울증과 경조증이 반복한다.
● 만약 조증삽화를 한번이라도 경험했다면 경조증 삽화가 있었더라도 1형 양극성장애로 진단된다.
● 경조증삽화란 평소 상태와는 달리 기분이 고양되거나 활력이 증가하나 심각도가 심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경조증 삽화는 자신이 병적이라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므로 주위 사람들의 정보가 중요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