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과서 정리
1) 교재 4절 “노인 보건”
2. 외국 정책 조사 – 우리나라 정책과 비교
2) “한국과 몽골의 노인복지정책 비교 연구”
본문내용
1. 교재 4절 노인 보건 요약정리
1) 노인 인구의 변화
– 우리나라의 2020년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812만 5천 명으로 전체 인구의 15.7%를 차지하고 있고, 2025년에는 20.3%로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며, 2060년에는 43.9%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
–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성비는 2000년에는 62.1이었으나, 2020년에는 76.2이며, 앞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60년에는 91.3으로 크게 높아질 것.
– 저출산 및 기대수명의 증가 등으로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감소하고 65세 이상 고령자가 많아지면서 노년부양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중 략>
2. 외국 정책 조사 – 우리나라 정책과 비교
⌜한국과 몽골의 노인복지정책 비교 연구⌟/ Sukhbat, Tuya / 숙명여자대학교 / 2014
– 의료보장에 있어 사회적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나, 경제적 능력과 제공하며, 시설, 전문 인력은 매우 부족함.
– 노인들이 경제적으로 안정된 상태로 삶에 보람을 느끼며, 지역사회 일원으로 있을 수 있도록 사회복지 서비스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함.
– 구체적인 방안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추진하여 가족, 사회적 부양 부담을 경감시키고, 각 역할에 대한 재정립이 필요함, 그리고 노인복지정책의 새로운 방안이 필요.
– 노인복지정책 : 노인의 욕구를 파악, 인간다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함. 노후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 필요한 자원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국가가 제도적・행정적 자원에서 개입하는 조직적 제반 활동을 의미.
.1) 좁은 의미 : 노인을 대상으로 보호나 갱생을 위한 일련의 사업을 시행하는 사회적으로 조직된 서비스.
2) 넓은 의미 : 모든 노인 생활상 안정, 의료, 주택 오락 등을 포함한 광범한 사회적 정책을 통틀어 말함.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