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보건교사
1) 보건교사 정의 및 역사
2) 보건교사 자격조건
3) 보건교사 향후전망 및 취업 기관
2. 보건교사 역할 및 기능
1) 보건교사 역할 및 기능
2) 보건교사와 임상과의 차이점
3. 보건교사와 관련된 법
4. 보건교사와 관련된 기사 및 사례
1) 보건교사와 관련된 기사
2) 보건교사와 관련된 사례
5. 참고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1. 보건교사
1) 보건교사의 정의와 역사
(1) 보건교사의 정의
① 보건교사는 보건교사 자격 기준에 해당하는 사람으로서, 교육부장관이 검정, 수요하는 자격증을 받은 사람
② 학교에서 학생의 보건관리와 보건지도를 전문으로 담당하는 교사
(2) 보건교사의 역사
→ 우리나라는 1950년 전후 복구과정에서 학교 보건이 실질적으로 시작되었다. 1949년[교육법]제 89조에 신체검사와 양호시설의 설비에 관한 규정을 두어 학교 보건 사업이 필요하고 반드시 실시됨을 강조하였다. 1953년 양호교사(현 보건교사)가 법제화 되어 1961년부터 임용되었다.
2) 자격조건
– 보건교사가 되려면 4년제 대학이나 전문대학의 간호학과를 다니면서 교직과정을 이수하고,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서 시행하는 간호사 시험에 먼저 합격해야 한다. 그 후 교육부장관이 검정·수여하는 보건교사 자격증을 받아야 한다. 보건교사 자격증은 학력 또는 경력에 따라 1급과 2급으로 나뉘고, 국공립학교의 보건교사가 되려면 교원 임용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① 자격증 관계도
– 보건교사 2급 : 대학 혹은 전문대학의 간호학과 졸업자로서 소정의 교직학점을 취득한 간호사는 보건교사 2급 자격을 취득할 수 있고 교원임용시험에 합격하면 국공립학교에서 보건교사로 일할 수 있다.
– 보건교사 1급 : 보건교사 2급 자격을 가진 자로서 3년 이상의 보건교사 경력을 가지고 자격연수를 받은 자는 보건교사 1급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