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낙상 문헌고찰
2. 주제 선정 배경 및 필요성
Ⅱ. 본론
1. 목표설정
2. 수행계획
3. 평가계획
1) 진단 평가
2) 형성 평가
3) 총괄 평가
4. 보건교육 계획안
Ⅲ. 결론
1. 평가결과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개요
노인은 낙상으로 인한 입원률과 사망률이 매우 높다. 젊은 연령과 비교하였을 때, 낙상으로 인한 사망은 10배, 낙상으로 인한 입원률 8배 높다. 오랜 입원과 치료는 치료 이후의 삶의 질을 현저히 떨어뜨린다. 낙상으로 병원을 찾는 노인의 20-30%는 뇌출혈 또는 엉덩이뼈 골절로 고생한다. 남자 노인들은 뇌출혈이, 여자 노인들의 경우 엉덩이뼈 골절이 더 많다. 또한 낙상을 경험한 많은 노인들은 다시 넘어져 다칠까 봐 잘 움직이려 하지 않아 근력이 더 약해져, 이후 낙상이 더 잘 생기게 된다. 일반적으로 ‘65세 이상 노인이 낙상으로 엉덩이뼈 골절이 생기면 다시 일어나지 못하고 황천길로 간다’는 속설이 돌 정도로 무서운 것이 바로 노인 낙상이다.
2) 정의
낙상은 넘어지거나 떨어져서 몸을 다치는 것으로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추락과 걸려 넘어지거나 미끄러져 넘어지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모든 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특히 노인에서 발생률이 높으며, 노인 인구 비율이 늘고 의료기술이 발전하여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노인 낙상의 발생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은퇴 후에 적어도 30년 이상 행복한 인생의 황금기를 영위해야 하는 노인에게 낙상은 가장 큰 천적이라 할 수 있다.
2) 원인
(1) 환경요인
가정 내에서 발생하는 낙상은 화장실의 타일과 마루 또는 방 등의 장판 바닥 등의 미끄러운 바닥과 계단에서 많이 발생한다. 계단은 그 자체로 노인 낙상 위험이 매우 높은 환경이므로 가급적 이용하지 말고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