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실험목적
□ 실험이론
□ 실험방법
□ 실험결과
□ 고찰
본문내용
□ 실험목적
전기화학적 분극 곡선의 측정에 의하여 금속의 부식 속도를 구하고 분극 곡선 측정이 내식성 재료 선정 및 개발에 어떻게 활용되는지 알아본다
□ 실험이론
● 부식(Corrosion)
금속의 표면에서 주위환경과의 전기적 또는 화학적 반응에 의해 산화 또는 변질되어 가는 것을 부식이라 한다. 부식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전기화학적 기구에 의해 발생한다는 것이다.
● 전기 화학적 부식
금속 재료를 수용액 중에 넣으면 금속 표면의 불균일성 때문에 Anode(양극)와 Cathode(음극)가 형성되어 국부전지작용에 의해 부식이 진행된다. Anode 부에는 금속이 이온으로 용출하고 Cathode 부에서는 전지를 받아 수소 발생반응(또는 산화환원반응)이 일어나 전하적으로는 양극이 균형을 이루게된다. 이 경우, Anode 부에서 일어나는 반응을 산화반응, Cathode 부에서 일어나는 반응을 환원반응이라고 한다. 또한, 이러한 분극의 위치가 변화함에 따라 금속은 전면 부식형태로 된다.
● 금속 부식 계에서 일어나는 산화, 환원 반응과 그 예
→ 갈바닉 전지(Galvanic Cell)
볼타 전지(Voltaire cell) 라고도 불리며, 자발적인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실험장치 두 종류의 금속을 각각 전해질 용액에 넣었을 때, 얻어지는 전지로, 자발적인 산화-환원 반응에 의하여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전지는 환원 전극을 통해 전기로 들어가고 산화 전극에서 방출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