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소재프로젝트2 금속 조직변태 A+ 결과레포트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이론
3. 실험 방법
4. 실험 결과
5. 고찰
6. 출처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순철 및 0.4Wt%, 0.8Wt%의 탄소강을 각각 노냉, 공냉, 유냉, 수냉하여 냉각 속도에 따른 조직의 변화를 관찰하고, 이에 따른 경도를 측정하여 철강의 조직 변태와 그에 따른 기계적 특성을 이해한다.

2. 실험 이론
1) Fe-C계 평형상태도
순철에는 α, r ,δ의 3동소체가 있으며 이것은 역시 C를 용해하며 α, r ,δ의 고용체를 만든다. α고용체는 723℃에서0.025%C를 r 고용체는 1130℃에서2.0% δ고용체는 1490℃에서 0.1%의 C를 용해한다.
-포정반응(peritectic reaction) : 1495℃
L(0.53%C) + δ(0.09%C) → γ(0.17%C)
-공정반응(eutectic reaction) : 1148℃
L(4.3%C) → γ(2.08%C) + Fe3C(6.67%C)
-공석반응(eutectoid reaction) : 723℃
γ(0.8%C) → α-페라이트(0.02%C) + Fe3C(6.67%C)
A:순철의 응고점(1538℃)AB:융액에서 δ고용체가 정출(晶出)하기 시작하는 온도곡선BC:융액에서 γ고용체가 정출하기 시작하는 온도곡선CD:융액에서 cementite가 정출하기 시작하는 온도곡선AH:0.1%C 이하의 강에서 융액으로 부터 δ고용체의 정출을 완료하는 온도곡선HJB:포정선(peritectic line)으로서 0.1~0.51%C의 강에서는 이온도(1494℃)에서 고상 H(δ고용체)+액상 B ↔고상 J(γ고용체)와 같은 포정반응이 일어난다.HN:δ고용체에서 γ고용체가 정출하기 시작하는 온도곡선JN:δ고용체에서 γ고용체의 정출이 끝나는 온도곡선JE:융액에서 γ고용체의 정출이 완료되는 온도곡선 ECF:공정선(共晶線)으로서 2.14~6.67%C의 Fe-C 합금에서는 이온도에서(1147℃)에서 액상 C ↔고상 E(γ고용체)+고상F(cementite, Fe3C)인 공정반응을 일으킨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