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고찰
Ⅱ. 간호사정
Ⅲ. 간호진단
Ⅳ. 느낀 점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1) 정의
폐렴은 세기관지와 폐의 폐포 부위의 염증이나 감염으로, 임상적으로는 발열 및 기침, 가래 등의 호흡기 증상과 함께 청진상의 이상소견 (ex. 거친호흡음, 호흡음 감소 등)이 관찰되거나 흉부 방사선의 이상소견 (ex. 폐음영의 증가)이 보일 때 정의할 수 있다. 주로 바이러스 및 세균 등에 의한 감염증에 의하여 발생하게 되지만, 드물게 이물질 및 음식물 등이 기도로 넘어가서 발생하는 흡인성 폐렴 및 방사선 치료, 알레르기 반응에 의한 폐렴도 발생할 수 있다. 폐렴은 소아기의 이환율과 사망률의 중요한 원인이 되는 가장 흔한 감염성 질환 중 하나이다.
2) 원인 및 관련요인
① 정상 방어기전의 손상
공기 여과, 흡입공기의 습화와 가온, 후두개 개폐, 기침 반사, 점액 섬모 청결작용, IgA의 분비 및 폐포 대식세포의 방어 작용에 손상이 오면 폐렴 발생
② 유발 위험 요인에 노출
– 의식 상태 저하 : 기침반사와 후두개 반사를 억제하여 흡입성 감염 발생
– 기관내 삽관 : 기침 반사 억제와 점액섬모 방어기전 손상
– 공기오염, 흡연, 상기도염, 노화 : 점액 섬모 방어 기전 손상
– 영양장애 : 림프구와 백혈구의 기능 변화, 구강인두(oropharynx) 상주균의 증식
③ 폐렴균 침입
– 정상 비인두와 구인두의 상주 균이 흡인되어 폐에 침입하는 경우
– 공기 중에 있는 폐렴균이 호흡 기도를 통해 흡입되어 폐에 침입하는 경우
– 신체의 다른 감염원에서 혈액을 통해 확산되어 폐에 침입하는 경우
⒜ 폐렴사슬알균(폐구균) 폐렴
세균성 폐렴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며 가슴막 반응이나 가슴막 삼출, 농흉, 무기폐 유발 잦음
* 세균성 폐렴 : 아동과 어른 모두 나타날 수 있으며 질병의 발생이 갑작스럽고 바이러스 감염 후에 나타나 상기도의 선천적인 방어기전을 방해
⒝ A군 사슬알균(연쇄상구균) 폐렴
주로 인후염 일으키나 일부에서는 폐렴을 유발하며 심할 때에는 괴사성 폐렴의 원인이 됨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