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사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류마티스 관절염은 진행성, 전신성, 만성 염증이 특징인 치료 불가한 자가면역질환으로, 우리나라 사람의 1.1~2%가 앓고 있고, 이 질병 환자 수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주로 35~50세 여성에게 발병하며, 질병 초기에는 활막에 염증으로 시작되지만, 후기로 갈수록 주위의 장기까지 침범하면서 만성 통증을 일으키는 치료 불가한 질환이기 때문에 적절한 중재의 필요성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우리는 류마티스 관절염 진단을 받은 서OO의 적절한 간호 중재를 계획하여, 서OO이 호소하는 조조강직과 만성적인 통증을 중재하고, 질병 활성도를 낮출 뿐만 아니라 합병증의 위험도를 낮출 있도록 연구할 예정이다.
Ⅱ. 본론
1. 문헌고찰
질환명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정의
자가면역기전으로 다발성 관절염을 특징으로 하는 원인 불명의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해부생리
관절 안에 활막 염증으로 혈액 내의 백혈구가 관절로 모여들면서, 관절액이 증가하여 관절이 붓게 되고 이로 인하여 통증이 발생된다.
만약, 염증을 중재하지 않고 지속하게 두면, 염증이 염증성 활막 조직(pannus)으로 성장하게 되고, 이것이 뼈와 연골을 파고들어 관절 모양을 변형하거나 관절 움직임의 장애를 일으키게 된다.
(섬유성 관절강직, 골강직)
원인
원인은 불명이지만, 자가면역현상이 주된 기전이다.
증상
관절에 통증, 뻣뻣함, 종창 등이 수 주에 걸쳐 서서히 나타난다.
① 전구증상 : 활막염이 생기지만, 애매한 증상 선행되어서, 진단 어려운 시기이다.
cf) 전구 증상이 애매해서, 평균 9개월 정도 진단이 지연되는 경향이 있다.
② 조조강직 : 아침에 자고 일어나면 또는 한 자세로 오래 있으면, 관절이 뻣뻣해져 일시적으로 움직이기 힘든 현상이 보통 1시간 이상 지속되는 것을 말한다.
③ 관절증상 : 초기의 특징은 주로 손에서 많이 발견되며, 침범된 관절의 통증과 종창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