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사건 개요 및 쟁점
1. 사건 개요
2. 쟁점 분석
가. 사실적 쟁점
나. 개념적 쟁점
다. 도덕적 쟁점
Ⅱ. 원인 분석
1. 공학 기술적 측면
2. 경영적 측면
3. 윤리적 측면
Ⅲ. 해결책
1. 공학 기술적 측면
2. 경영적 측면
3. 윤리적 측면
본문내용
2. 쟁점 분석
공학 윤리적 차원의 원인 분석을 위해, AI 음성 딥보이스 피싱 사건을 사실적 쟁점, 개념 적 쟁점, 도덕적 쟁점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해 보았다.
1) 사실적 쟁점
딥보이스의 기본적인 원리는 문자 음성 자동 변환 기술 (Text To Speech, 이하 TTS)이다. 특정 인물의 목소리를 딥 러닝 기술로 학습시키고 TTS로 해당 특정 인물이 하지 않은 말을 마치 한 것처럼 만들어 내는 기술이다. 이러한 딥보이스는 교육, 기업 홍보,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인터넷 사전에서 제공하는 단어의 발음이라든지, 좋아하는 배우의 음성을 이용해 알람을 생성하거나 오디오북을 듣는 등 일상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다. 또한, 네이버의‘클로바’, 삼성전자의 ‘빅스비’, 애플의 ‘Siri’등 여러 기업들은 딥보이스를 활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딥보이스는 인스타, 틱톡 등 SNS에서 끊임없이 쏟아지는 개인정보들을 이용하여 기하급수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AI 음성 합성 및 변조 기술이 경력 20년의 내로라하는 전문가들도 맨 귀로는 진위를 파악하기 힘들 정도이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현재 딥보이스 기술은 일반인들은 물론 전문가들도 맨 귀로 진위를 판별하기 어렵다는 점이고 피싱 문제에 악용된다는 점이다. 개인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를 보안하는 기술이 어느정도 발전되었을 때 전문가들 먼저 서서히 상용화시켜야 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