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아동 학대의 정의와 유형
2. 현재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정책과 서비스
3. 해당 아동을 위해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사회 서비스
4.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정책과 서비스의 문제점 한계 제시 및 해결방안 모색
본문내용
1. 아동 학대의 정의와 유형
우리나라의 경우 아동복지법 제3조 제7호에는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의 건강 또는 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신체적ㆍ정신적ㆍ성적 폭력이나 가혹행위를 하는 것과 아동의 보호자가 아동을 유기하거나 방임하는 것을 아동학대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적극적인 가해행위뿐만 아니라 소극적 의미의 단순 체벌 및 훈육까지 아동학대의 정의에 명시하고 있다. 아동 학대 유형은 신체학대, 정서학대, 성 학대, 방임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신체학대(Physical Abuse)는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에게 우발적 사고가 아닌 상황에서 의도적으로 신체 손상을 입도록 한 모든 행위를 말한다. 구타나 폭력에 의한 멍, 찢김, 골절 등 기능 손상의 원인이 되는 행위, 화학물질이나 약물과 같은 다른 방법에 따라서 발생한 손상의 원인이 되는 행위 등이 있다. 특히 36개월 이하의 영아에게 가해진 체벌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학대로 간주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