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C, RL 미적분 회로_예비레포트

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 이론
3. 실험 방법
4. 예상 결과
5. 참고문헌

본문내용

간단한 커패시터(capacitor)의 형태는 두 도체판을 나란히 놓고 그 사이를 유전체로 격리시킨 것이다. 커패시터라는 말은 용량(capacity)에서 파생된 용어로 이것은 양 도체판에 전하를 축적시킬 수 있다는 뜻 이다. 이때 전하를 저장하는 능력 또는 정도를 커패시턴스(capcitance)라 하는데, 용량이 크면 같은 전압 에서 더 많은 전하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림 15.1과 같이 직류 전압원과 저항, 커패시터 및 조정 스위치를 이용하여 각각 개방회로, 전원-저항-커패시터 직렬연결 회로, 저항-커패시터 직렬연결 회로로 구성된 경우 를 살펴보자. [그림 1]에서 스위치의 위치가 0에 있을 때에는 회로가 개방된 상태로 커패시터의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 으나, 스위치의 위치가 C로 연결된 경우 (+)전하는 커패시터의 위판에, (-)의 전하는 아래 판으로 이동하면 서  전류를 형성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판 양쪽에 전하들이 분리 축적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