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주거시설의 종류
1) 단독주택
2) 공동주택
2. 주거시설의 다양한 측면
3. 주거시설 사용자의 요구 특성
4. 우수사례
Ⅲ. 결론(개인의견)
본문내용
Ⅰ. 서론
농업인구가 많던 시절에는 인구밀도가 낮아 도심 형성이 어려웠지만, 1953년 6.25 전쟁 휴전 이후인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 이후, 이촌향도 현상으로 서울의 인구가 증가하기 시작합니다.(아래 그림1 참조)
이에 따라 정부의 정책은 도시 주택 보급으로 ‘주택건설 10개년 계획(1972-1981)을 시작으로 ’500만가구 건설계획(1981-1991)‘ 주택 200만호 건설계획(1988-1991)을 거쳐 1기 신도시개발계획(1989-1995)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택지개발사업과 주택공급사업이 정부 주도로 건설되고, 도시의 산업화와 인구증가에 따라 주택보급 정책을 기반으로 주거시설은 단독주택, 공동주택이 발전하게 됩니다.
Ⅱ. 본론
1. 주거시설의 종류
주거시설이란 주거를 할 수 있도록 그안에서 영위하는 시설물이라 합니다. 그 건축물의 범위에는 단독주택과 공동주택으로 나누어집니다.
구한말 경무청령으로 제정된 시가지건축규칙이 1913년부터 1934년까지 시행되었습니다. 그후 조선시가지계획력이 제정되어 1934년 6월부터 1962년 1월20일까지 시행되었습니다. 1962년 1월20일 조선시가지계획령을 건축분야와 도시계획분야로 구분하여 건축법이 동시에 제정됩니다. 우리나라 건축법 ’용도별 건축물의 종류(제3조의5 관련) 법령에 정의된 주거시설을 알아봅니다.
1) 단독주택
단독주택은 [단독주택의 형태를 갖춘 가정어린이집·공동생활가정·지역아동센터 및 노인복지시설(노인복지주택은 제외한다)을 포함한다] 주택의 구조 · 이용형태 등에 따른 분류로, 공동주택이 아닌 주택을 말합니다.
가. 단독주택
나. 다중주택: 다음의 요건을 모두 갖춘 주택을 말한다.
① 학생 또는 직장인 등 여러 사람이 장기간 거주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
② 독립된 주거의 형태를 갖추지 아니한 것(각 실별로 욕실은 설치할 수 있으나, 취사시설은 설치하지 아니한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