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본문내용
조선시대의 양반제도는 한국 역사의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그 복합적인 특성은 권력,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측면을 통해 평가될 수 있다. 도서 <양반:우리가 몰랐던 양반의 실체>에서 저자는 재지 양반층의 형성과 18- 19세기의 양반의 가치관과 이념이 조선의 중간층과 농민들에게까지 침투하게 된 양반 지향 사회의 성립을 통해 당시 사회에 유교적 생활 관습이 형성되었던 모습을 보여준다.
조선시대 양반은 사회적 상류층으로써 권력과 특권을 가지고 있었다…<중 략>
책에서는 안동 권씨 가문과 해남 윤씨 가문을 모델로 많은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나는 여기서 해주 오씨 가문의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이성임. (2022). 임진왜란기 해주 오씨 집안의 官屯田과 차경지 경작 -吳希文의 『瑣尾錄』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보, 101(0), 81-113. 10.21568/CDHA.2022.06.101.81
임진왜란 시기에 해주 오씨 집안의 이야기는 오희문이 작성한 ‘쇄미록’을 통하여 엿볼 수 있다. 오희문 일가는 충청도 임천과 강원도 평각에서 관둔전을 경작하여 수익을 올리고 있었는데 관둔전을 경작하는 일은 양반층의 특권 중 하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