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의 영양문제(영양불량, 비만, 충치, 편식)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원인과 예방법을 설명하고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소아비만의 문제점
2. 비만의 원인과 예방법
3. 교사의 지도방안 및 치료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비만 인구는 날이 갈수록 늘고 있다. 이것은 소아도 예외가 아니다.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의하면 한국 소아청소년 비만 유병률은 1997년 약 6%에서 2007년 약 11%로 10년 사이에 약 2배 가량 증가했다. 소아청소년은 체질량지수[체중(kg)÷키(m)x키(m)]가 성별 및 연령 군별로 80 ~ 94 백분위인 경우 과체중으로 또한 95 백분위수 이상이면 비만으로 정의한다. 소아 비만은 1차성 비만과 2차성 비만으로 분류하는데, 중추신경계 손상과 내분비계 질환 그리고 선천성 증후군처럼 2차성 비만은 소아 비만의 5% 미만이며, 1차성 비만은 소아 비만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1차성 비만의 원인으로는 유전 또는 과도한 음식 섭취 또한 잘못된 식사 습관과 운동 부족을 꼽을 수 있다. 소아 비만은 성인병과 대사증후군의 조기 발현 또한 관절 질환과 더불어 열등감과 우울함 등의 정신적인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그리고 성조숙증과 조기 사춘기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또한 소아 시기의 비만은 성인 비만으로 이행될 가능성이 높다. 연세대 예방의학과에서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7세 당시 소아 비만인 경우 성인 시기에도 비만인 경우가 약 41%였고, 10~13세 비만인 경우 성인 시기 비만 이행률이 약 70%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