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적사항
2. 개인력
3. 정신과 병력 및 기타 병력
4. 가족력
5. 사고 우려성
6. 면담 상황
7. 치료현황
8. 지지체계
9. 간호진단, 간호과정(수면 양상 장애)
본문내용
◎ Mental Examination
● 외모, 행동, 자세
▶ 약 180cm, 70kg로 약간 떡진 머리에 눈맞춤이 적절하지 않음. 면담에 협조적이었으나 했던 말을 다시 함. 적절한 톤의 목소리와 적절한 속도로 이야기함. 다른 환자들의 말에 끼어들며 참견을 많이 하는 모습을 보이고 말을 많이 함
● 사고과정
▶ 양호
● 사고내용
▶ 양호
● 지각
▶ 한 번씩 목사님과 자형의 목소리가 들린다고 함
● 기분 및 정동
▶ 밤에 잠을 못 자서 불편하고 이로 인해 피곤하다고 함
<중 략>
# 간호진단 우울한 기분과 관련된 수면 양상 장애
일시 : 2023.09.22
간호사정
내용
이론적 근거
1) 주관적 자료
– “새벽에 일찍 일어나요.”
– “자도 잔 거 같지 않고 피곤해요.”
– “어제도 못 잤어요.”
잠들기가 어려우며 얕은 수면을 취하며 이른 새벽에 각성하는 수면 상태
2) 객관적 자료
– 수면시간: 약 4시간
– 잦은 하품과 재활 프로그램 진행 중 조는 모습을 관찰함
– 무표정한 얼굴로 보이고 눈 아래가 어두움
대상자와의 면담 및 직접 관찰
간호목표
■ 장기목표
1. 대상자는 3주 이내로 수면제를 복용하지 않고 6시간 이상의 수면을 취할 수 있다.
■ 단기목표
1. 대상자는 1일 이내에 자신의 수면장애와 관련된 요소를 말로 표현한다.
2. 대상자는 3일 이내에 낮잠은 1시간으로 줄일 수 있다
3. 대상자는 7일 이내에 수면제의 도움으로 6시간 이상의 수면을 취할 수 있다.
얕은 수면은 긴 시간 수면하여도 피곤하기 때문에 깊고 계속적인 수면이 필요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