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오류 분석의 절차
2. 오류의 예
1) 발음 오류
2) 문법 오류
3) 화용 오류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한국어 교육은 궁극적으로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을 목적으로 한다.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정확한 발음과 올바른 문법으로 상황과 맥락에 맞는 표현을 사용하여야 한다. 발음이 정확하지 않으면 발음 오류를 바르지 못한 문법을 사용하면 문법 오류를 상황과 맥락에 맞지 않게 사용하면 화용 오류를 범할 수 있다. 오류 판단의 기준으로는 먼저 실수(Mistake)와 오류(Error)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실수는 한 번만 등장하는 단순 오기(誤記)로 학습자가 이미 알고 있는 것을 올바르게 수행하지 못해 발생한 것이라 별도의 지도가 필요하지 않다. 이에 반해 오류는 학습자의 언어 능력의 부족으로 무엇이 옳은 것인지 모르기 때문에 일관성과 규칙성을 가지고 반복적으로 발생한다. 즉, 같은 문장에서 1번의 잘못된 표현 이후 수정하여 올바른 표현을 사용하면 단순 실수로 간주하며 2번 이상의 같은 잘못된 표현을 범하면 오류로 간주하여 지도가 필요하다.
본론에서는 단순한 실수가 아닌 오류의 분석과 그 절차에 대해 알아보고 발음 오류, 문법 오류, 화용 오류의 각각의 예를 들어 살펴보고 오류의 원인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학습자의 오류를 수정할 수 있는 효율적인 지도 방안에 관해 기술해 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오류 분석의 절차
학습자 오류 분석(Error analysis)의 개념은 학습자 언어를 직접 들여다보고 그 안에서 대상어를 잘못 쓴 사례를 분석하고 분류하는 체계를 말한다. 오류 분석의 절차는 ‘오류의 수집’ → ‘오류의 식별’ → ‘오류의 분류’ → ‘오류에 대한 설명’ → ‘오류의 평가’로 볼 수 있다.
오류의 식별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양상에는 의사소통을 방해하며 화자의 의도를 이해하지 못하게 만드는 ‘포괄적 오류(Global error)’와 지엽적인 오류로 화자의 의도는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국지적 오류(Local error)’로 구분할 수 있으며..
<중 략>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