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재론 국어 교과서와 한국어 교재가 어떻게 다른지 그 차이점에 대해 학습 대상 목적과 기능 제작 의도와 목표 구현 매체 기타의 항목으로 나누어 기술해 보십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 ‘국어 교과서’와 ‘한국어 교재’의 차이점
1. 학습 대상
2. 목적과 기능
3. 제작 의도와 목표
4. 구현 매체
5. 기타의 항목 (편찬 및 발행)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십 년 동안 해외의 동아시아 언어의 관심은 대부분 중국어와 일본어로 제한되어왔다. 그러나 2012년 싸이의 노래 ‘강남스타일’, 2019년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 2021년 OTT(Over The Top) 드라마 ‘오징어 게임’, K-pop의 글로벌 스타 ‘BTS’까지 K-열풍이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얻으며,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도가 꾸준하게 상승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문화의 관심이 자연스럽게 한국어에 대한 관심으로도 이어져,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 또한 자연스럽게 상승하고 있다.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한 언어 학습 앱 ‘듀오링고’의 2022년 연례 보고서에 의하면 한국어가 2022년 가장 많이 학습된 언어 7위로 발표되었다.⑴ 중국어, 러시아어, 인도어, 이탈리아어보다 앞서고 있으며, 한국어는 빠르게 성장하는 언어 중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미국 고등교육기관에서도 나타났는데 한국어 수업 수강생이 2002년 5,211명에서 2016년 13,936명으로 급증했다.⑵ 이처럼 한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학습하고자 하는 외국인들이 증가하고 있다.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교육의 3요소⑶ 중 교사와 학습자를 이어 주는 물리적 실체이자 매개체로서, 체계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해 주는 조직화된 교육자료를 담고 있는 총체물, 즉 교재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