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맞벌이가족 현황
2. 맞벌이가족 문제점
3. 맞벌이가족 복지대책과 이에 대한 생각
Ⅲ.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우리가 살고 있는 현대사회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여러 방면에서 변화되어 오고 있다. 가족의 구조 또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 특히 맞벌이가족의 비율은 1980~90년대를 거치면서 증가되어 2000년도에 들어와 전체 취업여성의 80%이상이 맞벌이가족의 여성으로 조사되었다(김현옥, 김경호, 2009). 이처럼 맞벌이가족은 현대사회에서 보편적인 가족의 형태가 되었다.
맞벌이가족의 증가는 가족과 직장을 더 조화로운 양립을 지원할 수 있는 사회적 대응책에 관한 관심을 증가시켰지만, 노동시장에서의 기혼 여성노동력의 필요성에 비하면 맞벌이 가족에 대한 복지정책은 아직 미흡하다(서현숙, 2021).
맞벌이 부부는 자녀양육, 부모부양, 가사노동 등을 그들의 심각한 문제로 제기하고 있지만 이런 문제는 개인적인 일이며 가족 내에서 해결해야 하는 것이라는 인식이 있어 직장과 가정생활의 병행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또한 역할과중과 역할갈등을 겪게 하여 직장을 그만두게 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서현숙, 2021). 맞벌이가족의 문제는 수입감소, 맞벌이 부인의 경력 단절, 승진지연 및 직업 불안정성 등의 요인을 내포할 뿐만 아니라 훈련된 근로자를 잃게 되거나 이직률, 결근률을 증대시킴으로써 생산성 저하, 작업 불안정성을 초래하므로 기업 측에서도 궁극적으로는 손실을 입게 된다고 볼 수 있다(이명신, 1998).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