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박인로의 생애
Ⅲ. 박인로의 사상과 작품
1. 도학사상(道學思想)
2. 충효사상(忠孝思想)
3. 안빈낙도사상(安貧樂道思想)
4. 자연애사상(自然愛思想)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박인로는 명종 16년(1561)에 태어나 그의 생애 대부분을 전쟁과 함께 보낸 시인으로 불우한 세상에 태어나 어려운 환경 속에서 삶을 보냈다. (중략)
또한, 가사와 시조작품이 상당히 많기 때문에 가사의 경우는 가사의 최고봉이라 일컬어지는 송강 정철보다 작품 수에 앞서며, 시조의 경우에는 제일인자라고 하는 고산 윤선도와 비슷한 양의 작품을 남겼다. 이러한 이유로 박인로는 정철, 윤선도와 함께 조선시대 삼대 시가인(三代 詩歌人)이라고 불리며 그 역량을 인정받아 우리 국문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양적으로 많은 작품을 남겼기 때문에 삼대 시가인으로 불리는 것은 아니다. 시조와 가사를 겸행한 점, 그의 작품의 양과 질이 빼어난 점, 작가적 생활이 진지했던 점 등을 들어 그러한 평가를 내린다. 박성의, 「송강·노계·고산의 시가문학」, 1966
이처럼 박인로의 작품은 그 양적인 면과 질적인 면이 함께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삼대 시가인 중 정철과 윤선도는 수업시간에 다루는 반면, 박인로는 다루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번 과제를 통해 노계 박인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