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헌고찰
2. 자연분만 건강사정
본문내용
진단명:Supervision of other normal pregnancy 기타 정상 임신의 관리
정상분만
정의
가장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분만법으로 산모의 몸에 특별한 이상이 없고 태아가 건강하여, 자연적으로 진통이 올 때까지 기다렸다가 진통이 시작되면 정상적인 분만으로 진행하여 질을 통해 아기를 낳는 분만법이다.
정상분만
요소
1. 산도
: 모체의 골반과 연조직으로 구분한다.
2. 태아
:태세, 태위, 선진부, 태향, 하강도로 구분한다.
3. 만출력
: 불수의적 자궁수축, 수의적으로 내려 미는 힘, 항문올림근의 수축
4. 산부의 자세
: 분만 과정 동안 산부의 자세는 자궁 수축에 영향을 준다. 기립자세, 앉아있는 자세가 경관 개대에 가장 효과적이다. 자주 자세를 바꿔줌으로써 순환을 증진하고 피로 완화에 도움을 주며 통증 감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자연분만 영향 요인
1. 모체의 연령
: 모체의 연령이 낮은(16세 이하) 경우 미성숙, 아두골반 불균형, 자간전증의 위험이 높다. 모체의 연령이 높은(35세 이상) 경우 쌍태아 둔위, 후방후두위, 분만 2기의 지연의 위험이 높다.
2. 모체의 체중
: 모체가 과다체중인 경우, 잠재기 활동기 지연 또는 정지의 위험 및 과다체중으로 인한 연조직과 관련된 난산 분만 2기 지연의 위험이 있다.
3. 출산 간격
: 최종 출산과의 간격이 1년 이하인 경우, 급속분만의 위험과 저체중아 출산 위험이 있다. 최종 출산과의 간격이 10년 이상인 경우, 경관 강직으로 개대가 지연될 위험과 난산의 위험이 있다.
4. 출산 체중과 재태연령
: 조산과 태아 크기가 작은 경우 일반적으로 급속분만이 되며 태아가 큰 경우 지연 분만(2기 지연)의 위험이 있다. 재태연령이 37주 이하인 경우, 선진부 이상으로 분만 진행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42주 이상인 경우, 거구증으로 체구가 커서 출산 합병증의 위험이 있다.
5. 태향
: 분만 진행은 아두가 잘 굴곡된 두정위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진행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