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표본 조사의 개념 및 장단점
1) 표본 조사의 주요 개념
(1) 모집단과 모수
(2) 요소
(3) 표집틀
(4) 표집단위
(5) 표집간격
(6) 표집오차
(7) 비표집오차
2) 표본 조사의 장단점
(1) 장점
(2) 단점
II. 확률적 표집방법
(1) 단순무작위표집
(2) 체계적(계통) 표집
(3) 층화표집
(4) 집락(군집)표집
*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회조사는 크게 전수 조사(complete enumeration)와 표본 조사(sample survey)로 구분된다. 전수 조사는 모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조사하는 것으로 정확한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표본에서 얻은 자료로 올바른 모수 추정에 어려움이 있거나, 모집단이 소규모로 조사가 용이할 경우에는 전수 조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사회과학의 대부분의 연구는 표본 조사를 행하고 있다. 표본 조사는 조사대상의 일부만을 가지고 모집단을 설명하는 것이다. 즉, 표본자료를 통해 얻게 된 통계결과를 근거로 모집단의 값(모수치)을 추정하는 것이다. 많은 연구가 표본 조사로 수행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수 조사의 모집단이 방대하면 조사의 신속성과 경제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전수 조사로부터 수집된 자료는 표본 조사보다 상대적으로 정확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으나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입해야 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둘째, 전수 조사의 모집단을 정확히 알 수 없거나 파괴적인 실험(자동차 안전충돌시험, 전구 수명조사 등)에는 표본 조사가 더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모집단 일부분의 특성으로 모집단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모집단의 특성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표본을 선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업이다. 이 과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표본의 대표성(representativeness)과 적절성(adequacy)을 확보해야 하며, 이것은 표본추출의 핵심이 된다. 동일한 모집단이라 하더라도 다양한 방법으로 표본이 추출될 수 있기 때문에 표본의 대표성이 확보되지 않는다면 당연히 실제와는 다른 예측을 하게 될 위험을 갖게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