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측정과 척도의 개념
1) 측정의 의미
2) 척도의 의미
2. 측정의 4가지 수준이 갖는 특징
1) 명목 척도
2) 서열 척도
3) 등간 척도
4) 비율 척도
3. 참고문헌
본문내용
관찰된 현상이나 이론적인 개념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수치나 기호를 부여하거나 수량화하는 것을 측정이라 한다.
조사대상의 속성이나 특징에 따라 일정한 규칙을 가진 숫자나 기호를 부여하며, 질적인 개념을 양적인 개념으로 변환하는 과정이 측정이다. 이러한 측정(measurement)을 위한 도구를 척도(scale)라고 한다. 이 장에서는 측정과 척도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척도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건과 분류에 대해 이해한 후 척도를 구성하는 절차에 대해 학습하고자 한다.
또한 사회복지조사의 목적은 수집된 자료를 통계 분석하여 조사하고자 한 의도에 부합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복지조사방법론이 궁극적으로 자료 분석을 하기 위한 전제조건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기본적인 수준에서의 통계처리방법에 대한 이해는 사회복지조사방법론의 교육과정과 내용을 이해를 더욱 용이하게 할 것이다. 이에 본 자료에서는 측정과 척도의 개념과 측정의 4가지 수준이 갖는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1. 측정과 척도의 개념
1) 측정의 의미
측정은 조사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상적이고 주관적인 개념을 경험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수준으로 표준화하는 것이다.
즉, 측정은 조작적 정의를 통해 추상적인 개념의 수준을 경험적 수준으로 전환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측정은 추상적 개념이나 변수에 일정한 규칙에 따라 수치를 부여함으로써 추상적인 개념이 경험적으로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