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과정 및 교수요목설계]절차 중심 교수요목(과정 지향적 교수요목)을 설명하고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바랍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과정 지향적 교수요목(process-oriented syllabus)
2. 절차 중심 교수요목(procedural syllabus)
1) 절차 중심 교수요목의 개념
2) 절차 중심 교수요목의 특징
3) 절차 중심 교수요목의 의의와 한계
3. 한국어 교육현장 적용 방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교수요목(syllabus)은 교육과정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기는 하지만 교육과정이 학생이 참여하는 학교의 모든 활동(배우는 내용과 방법, 교사의 교수 방법, 교육자료, 평가유형 등) 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라면 교수요목(syllabus)은 정해진 프로그램에서 다루는 내용을 규정한 것 전체 내용의 일부분에 해당한다.(Richards.2001:39) 전통적 교수요목에는 단순히 교육 내용만 포함되었으나 과정 중심의 교수요목이 등장하면서 교수요목은 교육 방법까지 포함하게 되었다. 본론에서는 과정 지향적 교수요목과 절차 중심 교수요목의 개념 및 특징을 알아보고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Ⅱ. 본론
1.과정 지향적 교수요목(process-oriented syllabus)
과정 지향적 교수요목은 교육에서 특정 과정, 절차, 또는 방법을 강조하는 교수요목이다. 학습자를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 처하게 하여 언어사용을 경험하고 자연적으로 언어를 학습하도록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