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제1
2. 주제2
3. 주제3
4. 주제4
5. 주제5
본문내용
주제1. 서비스마케팅 믹스 (7P) – 사례와 함께 정리하기
1. 기본적 마케팅 믹스 (4P)
‘마케팅’은 목표시장의 욕구를 파악하고 경쟁사보다 고객의 욕구를 더 잘 충족할 수 있는 제품이나 프로그램, 과정 등을 만들어내는 복합적인 활동이다. 이러한 마케팅은 모든 산업에서 필요하다. 마케팅의 전통적인 기법인 마케팅 믹스(Marketing Mix) 4요소는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출시하여 마케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본요소인 4P(Product, Price, Place, Promotion)에 대한 전략을 면밀하게 세워 목표한 매출에 달성하도록 해야 함을 설명한다.
‘상품(Product)’에서 함께 고려할 수 있는 마케팅 기법은 STP 전략으로서 시장세분화 (Segmentation), 표적시장(Targeting), 포지셔닝(Positioning)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시장세분화’는 마케팅 전략에 대한 반응이 유사하거나 비슷한 고객들을 하나의 시장으로 묶는 과정으로서 소비자의 욕구에 맞는 시장을 공략하는 마케팅 전략이다. 다음으로 소비자의 욕구를 알기 위한 기준 변수를 정하고 세분된 시장별로 매력도를 평가하게 되는데 이를 바탕으로 선정되는 것이 바로 표적시장이다. 시장을 세분화하는 일에 기준이 되는 변수는 나이, 성별, 소득, 직업, 결혼 등 인구통계학적인 기준이 있으며, 소비자의 구매 패턴에 따른 시장세분화, 변화하는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심리적 기준 변수에 따른 시장세분화로 나누어 생각해볼 수 있다. ‘표적시장’은 시장세분화의 결과물로서 세분화 과정을 거쳐 선정된 시장 중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기에 가장 매력적인 시장으로 선정된 시장을 의미한다. ‘포지셔닝’은 시장세분화와 표적시장으로 선정된 목표시장 안에서 소비자에게 어떻게 제품을 각인시킬 것인가를 분석하는 단계이다. ‘가격(Price)’은 소비자가 구매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제품이나 서비스에 합리적인 가격을 제시할 수 있어야만 구매가 일어나게 된다. ‘유통(Place)’은 제품과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로로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나누어지며, 자사몰에서 구매 시 혜택을 더 누릴 수 있게 해주는 등의 마케팅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프로모션(Promotion)’은 제품과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알리기 위한 광고나 판매, 판촉행사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 과정에서 소비자는 구매 욕구를 높이고 브랜드나 제품의 가치를 알리기 위한 다양한 활동이 진행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