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학_남아공 식량안보 문제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식량안보
1) 농업 현황
2) 문제 요인 분석
(1) 용수 부족과 토양오염
(2) 러-우 전쟁의 여파
(3) 토지 및 농업 정책의 실패
2. 식량안보의 열쇠
3. 아프리카 쌀 증산의 실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식량안보 상황은 자연재해와 메뚜기 등의 해충 피해, 식량 가격의 상승, 그리고 COVID-19에 의한 경기 침체 등의 요인으로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COVID-19로 관광의 수요가 급감하면서 전반적으로 경제가 상당한 타격을 받고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최근까지 끊임없이 기후변화의 위험을 겪었는데, 가장 심각한 것은 홍수, 폭우, 건조기후, 계절적 가뭄 등이다. 사실, 홍수와 가뭄은 지난 20~30여 년 사이 남부 아프리카 지역들에서 그 빈도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더욱 강해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기후변화는 식량과 물의 안보에는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데, 음료의 질과 에너지, 대부분 농촌지역에서의 가축 보호에도 영향력을 미친다. 현재 대부분 농촌사회는 상당히 만성적인 식량 부족 현상에 빠져 있으며 이들은 심각한 홍수와 가뭄의 영향 때문이다. 이처럼 재발하는 가뭄과 홍수의 지속적인 증가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도시와 농촌 모두에서 보건, 식량, 물 그리고 에너지 등과 같은 분야에서 가난한 사람들에게 더욱 큰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에 따르면, 케이프타운 부근에 있는 케이프 플랜츠(Cape Flats)에 비공식적으로 거주하는 빈곤층들은 “사실,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과 홍수와 같은 자연재해의 증가에 가장 취약한 세계에서 제일 빈곤한 계층으로 남아있다.”라고 언급하였다.
미국 농무부 경제연구소의 “세계 식량안보 평가” IFSA는 주요 77개국을 대상으로 일반균형 모델을 적용한 Global Trade Analysis Project(GTAP) 모형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외부 충격으로는 COVID-19, 전 세계적 물가 상승,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간 전쟁 등의 변수가 고려된다.
는 인간이 생존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열량인 하루 2,100㎈를 기준으로, 2022~2032년까지 근 10년 동안의 식량안보 상황을 전망하는 보고서이다. 보고서는, COVID-19 기간 대비 2022년부터의 전 세계 한 명당 GDP는 아프리카 사하라 이남의 지역을 제외하면, 모든 국가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전망하였다. 그런데도, 전 세계 농산물의 가격은 COVID-19로 인하여 상승세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어 식량안보 상황은 더 나빠질 것으로 전망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