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 서론
1) 재평가 인물로 신채호를 선택한 이유
Ⅱ. 본론
1) 신채호의 등장
2) 신채호의 활동
(1) 독립협회 참여
(2) 신민회와 망명 —
(3) 언론 활동과 임시정부
(4) 의열단 선언
(5) 무정부주의 운동
3) 신채호의 최후
4) 신채호의 역사 연구
(2) 조선상고사 –
5) 신채호에 대한 평가
(1) 부정적인 평가
(2) 긍정적인 평가
III. 결론
1) 신채호 재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신채호를 선정한 이유
재평가 인물로 신채호를 선정한 이유는 근대 역사가로서 널리 알려진 사람이기 때문이다. 신채호가 남긴 저서는 현재까지도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신채호가 가진 역사관이 무엇이었기에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는지 궁금했다. 내가 알고 있는 정보는 조선혁명선언을 썼다는 것과 조선상고사를 냈다는 게 전부여서 모르는 부분에 대해 더 알고 싶었다. 그리고 그렇게 뛰어난 역사가가 왜 후대에서는 평가가 갈리는지 탐색하고 싶었다.
2. 본론
1) 신채호의 등장
호는 단재로, 신채호는 1880년 충청남도 대덕군 산골에서 태어났다. 신채호의 할아버지가 그에게 한학을 가르쳤으며, 10세 때 사서삼경을 읽어 신동으로 알려졌다. 18세가 되자 할아버지의 소개로 신기선의 집에 가게 된다. 신채호는 그곳에서 장서를 읽었고 신기선의 마음에 들게 된다. 1898년에 신기선의 추천으로 성균관에 입학해 관장의 총애를 받는다. 당시 이름 높은 유학자이자 성균관 교수였던 이남규의 아래에서 배우며 김연성 ·변영만 ·이장식 ·유인식 등과 교류했다. 성균관에 입학하고 얼마 뒤 독립협회에 가입했다.
성균관으로 만민공동회를 이끌어 갈 인재를 구한다는 초대장이 왔기 때문이다. 신채호는 만민 공동회에 참여하는 것이 나라를 구하는 일에 앞장서는 일이라고 생각했다. 신채호는 곧장 고향으로 내려가서 계몽운동을 펼치기로 결심했다. 1901년 22살의 신채호는 동지들과 함께 문동학원을 세워 학생들에게 개화사상과 민족정신을 일깨우는 교육을 펼쳤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