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호사정도구
A. 인적사항
B. 간호 사정
2) 질병에 관한 문헌고찰
3) 진단 검사결과
4) 약물요법
5) 간호진단
6) 간호과정기록지
본문내용
① 정의
폐렴은 허파꽈리와 세기관지와 같은 폐 실질조직에 부종을 초래하는 염증 과정으로서 허파꽈리 내로 수분을 이동시켜서 저산소혈증을 유발한다. 폐렴은 허파의 분절 또는 폐엽에서 경화가 발생하는 대엽성폐렴이나 기관지 주위에 널리 반점이 퍼지는 기관지폐렴이 있다.
② 원인 및 관련요인
원인균은 지역사회와 병원에서 감염을 일으키는 균이 포함된다. 공기 여과, 흡입 공기의 가습과 가온, 후두덮개 개폐, 기침반사, 점액 섬모 청결 작용, LgA의 분비 및 허파꽈리 큰포식세포의 방어작용 등의 정상 방어기전이 손상되거나, 유발 위험요인에 노출되고 폐렴균을 흡인하거나, 혈액을 통해 균이 침입할 때 발생한다.
③ 병태생리
지역사회 원인균
– streptococcus pneumoniae
– haemophilus influenza
– chlamydophila pneumoniae
– legionella pneumophilia
– mycoplasma pneumoniae
병원감염 원인균
– 그람음성균(pseudomonas aeruginos 등)
– MRSA
– 진균 (candida albicans)
④ 증상 및 징후
폐렴의 증상과 징후로는 발열, 오한, 호흡수 증가, 녹슨 쇳빛의 객담, 거품소리(악설음), 비정상적인 방사선 소견이 있다. 폐 간질강과 허파꽈리에 수분이 있을 때는 청진시 거품소리가 들린다. 기도의 염증과 삼출물로 인해 천명음이 들리며 경화된 부위에서는 기관지 호흡음이 들린다.
-폐렴의 임상증상(대상자 증상 진하게 표시함)
발열, 오한
호흡수 20회/분 이상
심박동 수 100회분 이상
호흡곤란
녹슨 쇳빛 객담
기침
청진시 들리는 거품소리, 쌕쌕거림, 기관지 호흡음
촉진 시 진동음(진탕음) 증가
흉부 불편감
피로, 근육통, 두통, 메스꺼움
⑤ 진단검사
– 임상검사 : 객담과 혈액검사
객담을 받아 그람염색 검사, 배양 및 민감도를 검사한다. 객담검사를 통해 원인균의 50% 정도를 확인하고 민감도 검사로 각 항생제에 대한 세균의 내성이나 민감성을 알 수 있다. 혈액 배양검사로 혈류에 세균이 침입하였는지 알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