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뒤르껨의 도덕사회화 이론과 교육의 역할
2. 파슨즈의 사회화 기능론과 교육의 역할
3. 기능주의입장의 학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능주의는 여러 학자의 이론이 들어있으므로 그 명칭도 다양하다. 그래서 기능이론 이외에도 구조기능이론과 합의이론 그리고 질서모형과 평형모형으로 불린다. 기능주의는 사회학의 아버지로 불리 우는 꽁트와 사회유기체설을 주장한 스펜서에 의해서 기초가 형성되고, 뒤르껨과 이태리의 사회학자 빠레토 또한 인류학자 마 리노우스키에 의해서 다양하게 발전했다. 이러한 발전은 파슨스에 이르러 포괄적인 사회학이론으로 정립되었다. 이러한 기능이론은 몇 가지 결점이 있는데 그러한 근본적인 결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기된 것으로 알렉산더가 대표적 인물이다. 이 때 신기능이론이 등장하게 되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