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화학실험 A+ 레포트] 아스피린의 합성과 분석

목차

Ⅰ. Date
Ⅱ. Objectives
Ⅲ. Introduction
Ⅳ. Materials
Ⅴ. Procedure
VI. Results
VII. Discussion & Conclusion
VIII. Reference

본문내용

Ⅰ. Date
2021년 6월 19일

Ⅱ. Objectives
1. 아스피린을 합성해보면서 유기 화합물의 합성을 이해할 수 있다.
2. 정색반응과 재결정을 이해할 수 있다.
3. 녹는점을 측정하여 합성한 아스피린의 순도를 알아본다.
4. 적외선분광계(FT-IR)를 사용하여 합성한 아스피린의 특성을 분석한다.

Ⅲ. Introduction
1. 아스피린의 합성
1.1. 에스터: 카복실산의 카복실기(RCOOH)에서 수소가 다른 작용기로 치환된 화합물(RCOOR’)을 에스터라고 한다. 에스터는 일반적으로 좋은 향기를 가지고 있다.
1.2. 에스터화 반응(Esterification): 산 촉매 하에서 카복실산과 알코올이 축합반응을 통해 에스터를 형성하는 반응을 에스터화 반응이라고 한다.
1.3. 아스피린(아세틸살리실산): 카복실산인 아세트산과 알콜기(-OH)를 가진 살리실산을 가지고 에스터화 반응을 일으켜 얻는다. 일반적으로 염증 치료, 해열 및 진통, 심혈관 질환 예방 등 의약품으로 이용된다.
1.4. 본 실험에서는 아세트산 대신 아세트산 무수물을 사용하는데, 일반 아세트산에 비해 반응성이 좋고 반응 속도도 더 빠르기 때문이다.
1.5. 정색반응: 페놀은 페닐기에 하이드록시기(-OH)가 결합된 방향족 화합물로, 페놀 화합물과 FeCl3가 반응하면 분홍색, 녹색, 보라색 등의 색깔을 띠게 된다. 이는 페놀과 Fe가 배위결합하여 배위 복합체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정색 반응을 통해 페놀 화합물의 포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1.6. 작용기(fuctional group): 유기화합물의 화학적 성질을 특정짓는 원자단이다. 유기화합물은 작용기에 따라 분류되며, 같은 작용기를 갖고 탄소수만을 달리하는 한 무리의 화합물을 동족체 또는 동족 계열 화합물이라고 한다. 예시로, 메탄올(CHOH)과 데칸올(CH(CH)OH)은 수산기(-OH)를 작용기로 하는 동족체이다. 같은 작용기라도 알킬 부분에 붙느냐, 방향족에 붙느냐에 따라 성질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수산기는 알킬기에 결합하면 알코올이 되고 방향족에 붙으면 페놀이 된다[4]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