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기관지염 case study 간호과정

목차

1. 호흡기계 임상증상과 관련된 급성통증
2. 기도 내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과적인 기도청결

본문내용

간호진단 1
호흡기계 임상증상과 관련된 급성통증
사정자료
 주관적 자료(Subjective data)
– “기침이 계속 나와서 가슴이 아파요.”
– “기침을 할 때마다 배가 아파요.”
– “목이 계속 따끔따끔해서 밥을 못 먹겠어요.”
– “침 삼킬때마다 목이 너무 아파요.”

 객관적 자료(Objective data)
-침을 삼킬 때마다 목에 계속 손이 가고 얼굴을 찡그리는 것을 관찰함
-기침을 할때마다 배를 잡고 기침하는 모습을 관찰함
-sore throat 통증 정도가 NRS 4점으로 측정됨
-인두가 부어있는 모습을 관찰함 (WBC:11.89)
-Neck AP: subglottic narrowing
목표
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NRS 점수가 4점에서 0점으로 감소한다.

 단기목표
– 대상자는 24시간 이내에 통증 완화 방법에 대해 3가지 이상 말한다.
–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침을 삼키거나 음식을 섭취할 때 이전보다 통증이 줄었다고 말로 표현한다.
간호계획
<진단적>
1. 대상자의 통증 정도를 8시간마다 사정한다.

2.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매 근무번마다 사정한다.

<치료적>
3. 처방에 따라 대상자에게 가글액을 주어 가글을 하도록 한다.

4. 처방에 따라 대상자에게 진통제와 항생제를 투여한다.

<교육적>
5.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이완요법을 교육한다.

6.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통증 완화 요법을 교육한다.

이론적 근거
1. 통증 정도를 사정하여 대상자 반응을 확인하고 통증 조절이 효과적인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