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적 연구과정

목차

없음

본문내용

질적 연구과정은 문제구성, 표집, 자료생성, 가설과 이론구축 등의 단계로 통상적으로 이루어진다.

1) 표집

질적 연구방법에서 의도적 표집의 논리는 확률표집의 논리와 사뭇 다르다. 통계적 표본의 장점은 무작위 표본, 즉모집단에 대해 일반화시킬 수 있는 대표적 표본을 추출하는 데서 비롯된다. 의도적 표집의 장점은 깊이 있는 조사를 위해 정보를 풍부히 줄 수 있는 사례를 선정하는 데 달려 있다. 조사목적에 중심이 되는 이슈에 관한 많은 정보를 줄 수 있다는 데서 ‘의도적(purposeful) 표집’ 이란 용어를 사용한다. 풍부한 정보를 주는 사례를 의도적으로 선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몇 가지 전략이 있다.

첫째, 극단적 ․ 예외적 표집(extreme or deviant case sampling)은 특이하고 특별한 사례를 통해 정보의 범위를 넓히는 것이다. 특이하고 특별한 사례란 각별한 성공사례나 실패처럼 특별하게 부각된 사례를 말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