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호력 및 신체검진
2. 질병에 대한 기술, 복강경 수술 전후 간호
3. 투약
4. 검사
5. 간호과정
본문내용
1) 병인론(Pathophysiology)
난소 낭종은 난소에 발생하는 낭성 종양(cystic tumor)으로, 내부가 수액 성분으로 차 있는 물혹을 의미한다. 이는 배란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기능성(생리적) 난소 낭종과 양성 난소 신생물(혹)을 통칭하는 개념으로, 내부의 수분은 종양의 종류에 따라 장액성, 점액성 액체인 경우도 있고 혈액이나 지방, 농양 등일 수도 있다. 기능성(생리적) 난소 낭종은 여포 낭종, 황체 낭종, 난포막 황체화 낭종(theca lutein cyst) 등이 해당된다. 기능성 난소 낭종은 생리주기와 관련된 호르몬의 영향으로 생긴다. 양성 난소 신생물(혹)은 자궁 내막종, 기형종, 장액성 또는 점액성 난소 낭종 등이 이에 해당되는 것으로 다양한 크기와 임상경과를 보일 수 있다. 난소 낭종은 매우 흔하게 발생하고 대개 무증상이며 양성(암이 아님)이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한 특별한 방법은 없다. 현재 난소 낭종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생리 주기나 생리 양상(양, 기간, 통증)에 변화가 생기면 진찰을 받는 것이다.
① 난포 낭종
대부분 젊은 여성의 정상 난소에 발생하며 발생요인은 성숙한 난포가 터지지 않거나 성숙하지 못한 난포가 배란 이후 수액을 재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낭종이 터지지 않으면 무증상이고 만약 터진다면 극심한 골반통증을 유발한다. 낭종이 터지지 않는다면 보통 2~3회의 생리주기가 지나면서 작아진다.
② 황체 낭종
배란 후 발생하며 황체 내 수액량을 늘리는 프로게스테론 분비량의 증가로 발생한다고 추측된다. 임상적으로는 통증, 난소 부위의 압통, 생리 지연, 불규칙적이거나 오래 지속되는 생리가 나타난다. 낭종이 터지면 복강 내 출혈을 일으킨다. 황체 낭종은 2~3회의 생리주기 내에 저절로 사라진다.
③ 난포막 황체낭종
흔하지는 않으며 약 50% 정도가 포상기태와 연관이 있다. 융모성선자극호르몬의 지속적인 난소 자극으로 인해 생긴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